Skip to main content

세상 모든 배움을
담는 온라인 강의 플랫폼

어려운 것은 쉽게! 재미있게! 풀어주는 '동덕여자대학교'

탄소중립과 수소의 미래

00:00 00:00
김종남

국가경영전략연구원
thumb-nail
  • 수강기간 : 60
  • 강의수 : 1
  • 이수점수 : 100
  • 지구 온난화 우려에 따른 탄소배출 문제는 글로벌 현안이 되었습니다. 대기 중의 이산화탄소 농도는 2000년대 380ppm에서 현재는 410ppm을 넘어서고 있습니다. 국제사회는 2100년까지 지구의 온도 상승을 현재 수준에서 1.5도 이내로 억제해야 한다고 보고 있으며, 이를 위해 2030년까지 탄소배출량을 지금의 절반 수준으로 감축하고, 2050년까지는 ‘넷제로(Net-Zero)’를 달성하겠다는 목표를 제시하고 있습니다.
    결국 에너지산업 문제입니다. 재생에너지 개발이 활성화되고 있지만 안정적인 에너지 확보와 대용량 저장에 한계를 보임에 따라 수소에너지의 장점이 부각되고 있습니다. 2019년 정부에서는 <수소경제 활성화 로드맵>을 발표하며 수소가 수송용 연료와 전기나 열을 생산하는 주요 에너지원으로 사용되는 수소경제 선도국가로의 도약을 선언하였습니다. 최근 들어 현대자동차를 선두로 효성, 포스코, 한화, SK와 같은 대기업에서 수소 산업으로의 진출을 선언하고 있습니다.